맨위로가기

적분 판정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적분 판정법은 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별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으로, 감소하는 양의 실수 값을 갖는 함수와 관련된 급수와 이상 적분의 수렴성을 연결한다. 이 판정법은 급수 ∑f(n) 가 수렴하는 것과 이상 적분 ∫f(x)dx 가 수렴하는 것이 동치임을 보여준다. 또한, p-급수와 일반화된 p-급수와 같은 특정 급수의 수렴성을 판별하는 데 활용되며, 조화 급수와 리만 제타 함수를 예시로 들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렴판정법 - 아벨-디니-프링스하임 판정법
    아벨-디니-프링스하임 판정법은 급수의 수렴성을 판정하는 수학적 정리들을 포괄하는 용어로, 수렴 및 발산 급수에 대한 조건과 관계를 제시하며 19세기와 20세기에 아벨, 디니, 프링스하임 등의 수학자들이 기여하여 발전했다.
  • 수렴판정법 - 디리클레 판정법
    디리클레 판정법은 0으로 수렴하는 단조 수열과 유계인 부분합을 갖는 수열의 곱으로 이루어진 급수의 수렴성을 판정하는 방법으로, 급수와 이상 적분, 함수열의 균등 수렴성 판단에도 활용된다.
  • 적분학 - 미적분학
    미적분학은 미분과 적분이라는 두 연산을 중심으로 하는 수학 분야로, 여러 고대 문명에서 기원하여 뉴턴과 라이프니츠에 의해 체계화되었고, 함수의 변화율과 면적을 계산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적분학 - 절대 수렴
    절대 수렴은 급수의 각 항에 절댓값을 취한 급수가 수렴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실수 또는 복소수 급수에서 절대 수렴하면 원래 급수도 수렴하고, 바나흐 공간에서는 절대 수렴하는 급수가 수렴한다.
적분 판정법
개요
유형수열의 수렴 판정법
분야해석학
관련 항목급수 (수학)
설명
내용단조 감소하는 양항 수열의 수렴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
조건함수 f(x)가 구간 [1, ∞)에서 정의되고 단조 감소하며, f(n) = aₙ을 만족해야 함
적분 ∫₁^∞ f(x) dx가 수렴하면 급수 ∑ aₙ도 수렴함
적분 ∫₁^∞ f(x) dx가 발산하면 급수 ∑ aₙ도 발산함
주의사항함수 f(x)는 연속 함수여야 함
급수의 첫째항부터가 아니라 유한 개의 항을 제외한 나머지 항에 대해서만 단조 감소해도 판정법을 적용 가능함
예시급수 ∑ 1/n^p (p > 1)는 수렴함
급수 ∑ 1/n (p = 1)는 발산함
활용
활용 예시p-급수의 수렴, 발산 판정에 활용

2. 정의와 증명

음이 아닌 실수 값 감소함수

:f\colon[0,\infty)\to[0,\infty)

:\forall x,y\in[0,\infty)\colon x\le y\implies f(x)\ge f(y)

가 주어졌다고 하자. (특히, f는 임의의 [0,a]\subseteq[0,\infty)에서 리만 적분 가능하다.) '''적분 판정법'''에 따르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7]


  • 급수 \sum_{n=0}^\infty f(n)는 수렴한다.
  • 이상 적분 \int_0^\infty f(x)\,dx은 수렴한다.

또한, (수렴 여부와 관계 없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int_0^\infty f(x)\,dx\le\sum_{n=0}^\infty f(n)\le f(0)+\int_0^\infty f(x)\,dx

음이 아닌 실수 항 급수의 합과 음이 아닌 실수 값 리만 적분 가능 함수의 이상 적분의 값은 음이 아닌 확장된 실수로서 항상 존재하며, 이들의 수렴 여부는 합이나 적분 값의 유한한지 여부와 동치이다. 임의의 n\in\{0,1,2,\dots\}n\le x\le n+1에 대하여,

:f(n+1)\le f(x)\le f(n)

이다. [n,n+1] 위의 리만 적분을 취하면

:f(n+1)\le\int_n^{n+1}f(x)\,dx\le f(n)

이 된다. n\in\{0,1,2,\dots\}에 대한 급수를 취하면

:\sum_{n=1}^\infty f(n)\le\int_0^\infty f(x)\,dx\le\sum_{n=0}^\infty f(n)

이 된다. 이는

:\begin{align}

\sum_{n=0}^\infty\int_n^{n+1}f(x)\,dx

&=\lim_{n\to\infty}\sum_{i=0}^n\int_i^{i+1}f(x)\,dx\\

&=\lim_{n\to\infty}\int_0^{n+1}f(x)\,dx\\

&=\int_0^\infty f(x)\,dx

\end{align}



임에 따른다. 따라서, 만약

:\sum_{n=0}^\infty f(n)<\infty

라면

:\int_0^\infty f(x)\,dx\le\sum_{n=0}^\infty f(n)<\infty

이며, 만약

:\int_0^\infty f(x)\,dx<\infty

라면

:\sum_{n=0}^\infty f(n)=f(0)+\sum_{n=1}^\infty f(n)\le f(0)+\int_0^\infty f(x)\,dx<\infty

이다. 즉, 수렴 여부가 동치다.

정수 N과 무한 구간 [N, \infty)에서 정의된 함수 f가 주어지며, 이 구간에서 함수는 단조 감소 함수이다. 그러면 무한 급수

:\sum_{n=N}^\infty f(n)

는 다음의 부정 적분이

:\int_N^\infty f(x)\,dx

유한할 필요충분조건으로 실수로 수렴한다. 특히, 적분이 발산하면 급수 또한 발산한다.

적분 판정법의 증명은 비교 판정법을 사용하여 f(n)이라는 항을 구간 [n-1,n)[n,n+1)에서 f의 적분과 각각 비교한다.

단조 함수 f는 거의 어디에서나 연속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D=\{ x\in [N,\infty)\mid f\text{는 }x\text{에서 불연속} \}라고 하자.

모든 x\in D에 대해, \mathbb Q조밀 집합에 의해, c(x)\in\left[\lim_{y\downarrow x} f(y), \lim_{y\uparrow x} f(y)\right]를 만족하는 c(x)\in\mathbb Q가 존재한다.

이 집합은 fx에서 불연속일 때 정확히 열린 집합인 비어 있지 않은 구간을 포함한다. 위 조건을 만족하고, 열거 \mathbb N\to\mathbb Q에서 가장 작은 인덱스를 가진 유리수c(x)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f가 단조 함수이므로, 이는 단사 함수 함수 c:D\to\mathbb Q, x\mapsto c(x)를 정의하며, 따라서 D가산 집합이다. 따라서 f는 거의 어디에서나 연속이다. 이는 리만 적분 가능성에 충분하다.[5]

f가 단조 감소 함수이므로, 다음을 알 수 있다.

:

f(x)\le f(n)\quad\text{모든 }x\in[n,\infty)\text{에 대해}



그리고

:

f(n)\le f(x)\quad\text{모든 }x\in[N,n]\text{에 대해}.



따라서, 모든 정수 n \ge N에 대해,

:

\int_n^{n+1} f(x)\,dx

\le\int_{n}^{n+1} f(n)\,dx

=f(n)

그리고, 모든 정수 n \ge N + 1에 대해,

:

f(n)=\int_{n-1}^{n} f(n)\,dx

\le\int_{n-1}^n f(x)\,dx.



N에서 어떤 더 큰 정수 M까지의 모든 n에 대해 합하면,

:

\int_N^{M+1}f(x)\,dx=\sum_{n=N}^M\underbrace{\int_n^{n+1}f(x)\,dx}_{\le\,f(n)}\le\sum_{n=N}^Mf(n)



그리고

:

\begin{align}

\sum_{n=N}^Mf(n)&=f(N)+\sum_{n=N+1}^Mf(n)\\

&\leq f(N)+\sum_{n=N+1}^M\underbrace{\int_{n-1}^n f(x)\,dx}_{\ge\,f(n)}\\

&=f(N)+\int_N^M f(x)\,dx.

\end{align}



이 두 추정치를 결합하면 다음과 같다.

:\int_N^{M+1}f(x)\,dx\le\sum_{n=N}^Mf(n)\le f(N)+\int_N^M f(x)\,dx.

M을 무한대로 보내면, 경계와 결과가 도출된다.

2. 1. 상세 증명

음이 아닌 실수 값 감소함수 f\colon[0,\infty)\to[0,\infty)가 주어졌을 때, f는 임의의 [0,a]\subseteq[0,\infty)에서 리만 적분 가능하다.[7][8] 이때, 급수 \sum_{n=0}^\infty f(n)가 수렴하는 것과 이상 적분 \int_0^\infty f(x)\,dx가 수렴하는 것은 서로 동치이다.[7][8]

음이 아닌 실수 항 급수의 합과 음이 아닌 실수 값 리만 적분 가능 함수의 이상 적분의 값은 음이 아닌 확장된 실수로서 항상 존재하며, 이들의 수렴 여부는 합이나 적분 값의 유한한지 여부와 동치이다. 임의의 n\in\{0,1,2,\dots\}n\le x\le n+1에 대하여, f(n+1)\le f(x)\le f(n)이 성립한다. [n,n+1] 위의 리만 적분을 취하면, f(n+1)\le\int_n^{n+1}f(x)\,dx\le f(n)이 된다. n\in\{0,1,2,\dots\}에 대한 급수를 취하면, \sum_{n=1}^\infty f(n)\le\int_0^\infty f(x)\,dx\le\sum_{n=0}^\infty f(n)이 된다. 이는[7][8]

:\begin{align}

\sum_{n=0}^\infty\int_n^{n+1}f(x)\,dx

&=\lim_{n\to\infty}\sum_{i=0}^n\int_i^{i+1}f(x)\,dx\\

&=\lim_{n\to\infty}\int_0^{n+1}f(x)\,dx\\

&=\int_0^\infty f(x)\,dx

\end{align}



임에 따른다.

따라서, \sum_{n=0}^\infty f(n)<\infty라면 \int_0^\infty f(x)\,dx\le\sum_{n=0}^\infty f(n)<\infty이며, \int_0^\infty f(x)\,dx<\infty라면 \sum_{n=0}^\infty f(n)=f(0)+\sum_{n=1}^\infty f(n)\le f(0)+\int_0^\infty f(x)\,dx<\infty이다. 즉, 수렴 여부가 동치이다.[7][8]

또한, (수렴 여부와 관계 없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7][8]

:\int_0^\infty f(x)\,dx\le\sum_{n=0}^\infty f(n)\le f(0)+\int_0^\infty f(x)\,dx

이 증명은 비교 판정법을 사용하여 f(n)이라는 항을 구간 [n-1,n)[n,n+1)에서 f의 적분과 각각 비교하여 얻을 수 있다. f가 단조 감소 함수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f(x)\le f(n)\quad\text{모든 }x\in[n,\infty)\text{에 대해}

:f(n)\le f(x)\quad\text{모든 }x\in[N,n]\text{에 대해}.

따라서, 모든 정수 n \ge N에 대해, \int_n^{n+1} f(x)\,dx\le\int_{n}^{n+1} f(n)\,dx=f(n)이고, 모든 정수 n \ge N + 1에 대해, f(n)=\int_{n-1}^{n} f(n)\,dx\le\int_{n-1}^n f(x)\,dx이다.

N에서 어떤 더 큰 정수 M까지의 모든 n에 대해 합하면,

:\int_N^{M+1}f(x)\,dx=\sum_{n=N}^M\underbrace{\int_n^{n+1}f(x)\,dx}_{\le\,f(n)}\le\sum_{n=N}^Mf(n)

:\begin{align}

\sum_{n=N}^Mf(n)&=f(N)+\sum_{n=N+1}^Mf(n)\\

&\leq f(N)+\sum_{n=N+1}^M\underbrace{\int_{n-1}^n f(x)\,dx}_{\ge\,f(n)}\\

&=f(N)+\int_N^M f(x)\,dx.

\end{align}



이 두 추정치를 결합하면 \int_N^{M+1}f(x)\,dx\le\sum_{n=N}^Mf(n)\le f(N)+\int_N^M f(x)\,dx이다. M을 무한대로 보내면, 경계와 결과가 도출된다.

2. 2. 추가 설명

많은 교과서에서는 함수 f가 양수일 것을 요구하지만,[1][2][3] f가 음수이고 감소할 때 Σf(n)과 ∫f(x)dx 둘 다 발산하므로 이 조건은 실제로 필요하지 않다.[4] 함수 f(x)가 증가하면 함수 -f(x)는 감소하므로 위의 정리가 적용된다.

3. 활용

적분 판정법은 다양한 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정하는 데 활용된다.

==== 예시 1: p-급수 ====

급수

:\sum_{n=1}^\infty\frac1{n^p}\qquad(p\in\mathbb R)

는 '''p-급수'''(조화 급수]]

:

\sum_{n=1}^\infty \frac 1 n



p=1인 경우이므로 발산한다. 반면,

:

\zeta(1+\varepsilon)=\sum_{n=1}^\infty \frac1{n^{1+\varepsilon}}



(리만 제타 함수 참조)는 \varepsilon > 0에 대해 p = 1 + \varepsilon > 1이므로 수렴한다.

==== 예시 2: 일반화된 p-급수 ====

급수

:\sum_{n=2}^\infty\frac1{n^p\ln^qn}\qquad(p,q\in\mathbb R)

를 생각하자. p>1일 때 수렴하며, p<1일 때 발산한다. 이 급수는 비교 판정법에 의하여, p>1이면 수렴, p<1이면 발산한다.

p=1인 경우, 적분 판정법에 따라, 급수의 수렴 여부는 이상 적분

:\int_2^\infty\frac{dx}{x\ln^qx}

의 수렴 여부와 같다.

이는

:(x^{-1}\ln^{-q}x)'=-x^{-2}\ln^{-q}x+x^{-1}(-q)\ln^{-q-1}x\cdot x^{-1}=-x^{-2}\ln^{-q-1}x(\ln x+q)<0\qquad(x\gg1)

임에 따른다. 만약 q=1이라면,

:\int_2^\infty\frac{dx}{x\ln x}=\lim_{x\to\infty}\int_2^x\frac{dt}{t\ln t}=\lim_{x\to\infty}(\ln\ln x-\ln\ln2)=\infty

이다. 만약 q\ne1이라면,

:\int_2^\infty\frac{dx}{x\ln^qx}=\lim_{x\to\infty}\int_2^x\frac{dt}{t\ln^qt}=\lim_{x\to\infty}\left(\frac{\ln^{1-q}x}{1-q}-\frac{\ln^{1-q}2}{1-q}\right)=\begin{cases}

\infty&q<1\\


  • \ln^{1-q}2/(1-q)&q>1

\end{cases}



이다.

따라서, 이 급수는 p>1이거나 p=1, q>1일 때 수렴하며, p=1, q\le1이거나 p<1일 때 발산한다. 비 판정법·근 판정법·라베 판정법은 이 급수의 수렴 여부를 알아낼 수 없다. 베르트랑 판정법의 증명은 이 급수의 (p,q)에 따른 수렴 여부에 기반한다.

마찬가지로, 급수

:\sum_{n=\underbrace}}_{k-1}}^\infty\frac1{n^{p_0}(\ln n)^{p_1}\cdots(\underbrace{\ln\cdots\ln}_k\,n)^{p_k/p-series}})라고 불린다. 이 급수는 p\le0이면 자명하게 발산하며, p>0인 경우 적분 판정법을 통해 수렴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적분 판정법에 따르면, p-급수의 수렴 여부는 이상 적분

:\int_1^\infty\frac{dx}{x^p}

의 수렴 여부와 동치이다.

  • p=1일 경우,

:\int_1^\infty\frac{dx}x=\lim_{x\to\infty}\int_1^x\frac{dt}t=\lim_{x\to\infty}(\ln x-\ln1)=\infty

이므로 발산한다.

  • p\ne 1일 경우,

:\int_1^\infty\frac{dx}{x^p}=\lim_{x\to\infty}\int_1^x\frac{dt}{t^p}=\lim_{x\to\infty}\left(\frac{x^{1-p}}{1-p}-\frac1{1-p}\right)=\begin{cases}

\infty&p<1\\

1/(p-1)&p>1

\end{cases}



이므로, p>1일 때 수렴하고 p<1일 때 발산한다.

따라서 p-급수는 p>1일 때 수렴하고, p\le1일 때 발산한다. 비 판정법이나 근 판정법으로는 이 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별할 수 없다. 라베 판정법의 증명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의 수렴 여부 또한 적분 판정법을 통하여 구할 수 있다. \mathbb R^{k+1} 위의 사전식 순서\preceq로 적을 때, 이 급수는 (p_0,\dots,p_k)\succ(1,\dots,1)일 때 수렴하며, (p_0,\dots,p_k)\preceq(1,\dots,1)일 때 발산한다.

==== 예시 3: 발산과 수렴의 경계 ====

조화 급수

:

\sum_{n=1}^\infty \frac 1 n



자연 로그, 그 부정적분,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발산한다.

:

\int_1^M \frac 1 n\,dn = \ln n\Bigr|_1^M = \ln M \to\infty

\quad\text{for }M\to\infty.



반면에, 급수

:

\zeta(1+\varepsilon)=\sum_{n=1}^\infty \frac1{n^{1+\varepsilon}}



(cf. 리만 제타 함수)

는 모든 \varepsilon > 0에 대해 수렴한다.

3. 1. 예시 1: p-급수

급수

:\sum_{n=1}^\infty\frac1{n^p}\qquad(p\in\mathbb R)

는 '''p-급수'''(조화 급수]]

:

\sum_{n=1}^\infty \frac 1 n



p=1인 경우이므로 발산한다. 반면,

:

\zeta(1+\varepsilon)=\sum_{n=1}^\infty \frac1{n^{1+\varepsilon/p-series}})라고 불린다. 이 급수는 p\le0이면 자명하게 발산하며, p>0인 경우 적분 판정법을 통해 수렴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적분 판정법에 따르면, p-급수의 수렴 여부는 이상 적분

:\int_1^\infty\frac{dx}{x^p}

의 수렴 여부와 동치이다.

  • p=1일 경우,

:\int_1^\infty\frac{dx}x=\lim_{x\to\infty}\int_1^x\frac{dt}t=\lim_{x\to\infty}(\ln x-\ln1)=\infty

이므로 발산한다.

  • p\ne 1일 경우,

:\int_1^\infty\frac{dx}{x^p}=\lim_{x\to\infty}\int_1^x\frac{dt}{t^p}=\lim_{x\to\infty}\left(\frac{x^{1-p}}{1-p}-\frac1{1-p}\right)=\begin{cases}

\infty&p<1\\

1/(p-1)&p>1

\end{cases}



이므로, p>1일 때 수렴하고 p<1일 때 발산한다.

따라서 p-급수는 p>1일 때 수렴하고, p\le1일 때 발산한다. 비 판정법이나 근 판정법으로는 이 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별할 수 없다. 라베 판정법의 증명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리만 제타 함수 참조)는 \varepsilon > 0에 대해 p = 1 + \varepsilon > 1이므로 수렴한다.

3. 2. 예시 2: 일반화된 p-급수

급수

:\sum_{n=2}^\infty\frac1{n^p\ln^qn}\qquad(p,q\in\mathbb R)

를 생각하자. p>1일 때 수렴하며, p<1일 때 발산한다. 이 급수는 비 판정법에 의하여, p>1이면 수렴, p<1이면 발산한다.

p=1인 경우, 적분 판정법에 따라, 급수의 수렴 여부는 이상 적분

:\int_2^\infty\frac{dx}{x\ln^qx}

의 수렴 여부와 같다.

만약 q=1이라면,

:\int_2^\infty\frac{dx}{x\ln x}=\lim_{x\to\infty}\int_2^x\frac{dt}{t\ln t}=\lim_{x\to\infty}(\ln\ln x-\ln\ln2)=\infty

이다. 만약 q\ne1이라면,

:\int_2^\infty\frac{dx}{x\ln^qx}=\lim_{x\to\infty}\int_2^x\frac{dt}{t\ln^qt}=\lim_{x\to\infty}\left(\frac{\ln^{1-q}x}{1-q}-\frac{\ln^{1-q}2}{1-q}\right)=\begin{cases}

\infty&q<1\\

  • \ln^{1-q}2/(1-q)&q>1

\end{cases}



이다.

따라서, 이 급수는 p>1이거나 p=1, q>1일 때 수렴하며, p=1, q\le1이거나 p<1일 때 발산한다. 비 판정법·근 판정법·라베 판정법은 이 급수의 수렴 여부를 알아낼 수 없다. 베르트랑 판정법의 증명은 이 급수의 (p,q)에 따른 수렴 여부에 기반한다.

마찬가지로, 급수

:\sum_{n=\underbrace}}_{k-1}}^\infty\frac1{n^{p_0}(\ln n)^{p_1}\cdots(\underbrace{\ln\cdots\ln}_k\,n)^{p_k}}

의 수렴 여부 또한 적분 판정법을 통하여 구할 수 있다.

3. 3. 예시 3: 발산과 수렴의 경계

적분 판정법은 \sum_{n=N_k}^\infty\frac1{n\ln(n)\ln_2(n)\cdots \ln_{k-1}(n)\ln_k(n)} 형태의 급수처럼, 수렴과 발산의 경계에 있는 급수들의 수렴 여부를 판정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6] 여기서 \ln_k(x)는 자연 로그의 k-중첩 합성을 나타내며, N_k\ln_k(N_k) \ge 1을 만족하는 최소의 자연수이다.

이러한 급수의 예로, 모든 자연수 k에 대해 다음 급수

:

\sum_{n=N_k}^\infty\frac1{n\ln(n)\ln_2(n)\cdots \ln_{k-1}(n)\ln_k(n)}



는 발산하며,

:

\sum_{n=N_k}^\infty\frac1{n\ln(n)\ln_2(n)\cdots\ln_{k-1}(n)(\ln_k(n))^{1+\varepsilon}}



는 모든 \varepsilon > 0에 대해 수렴한다.

위 급수들의 발산과 수렴은 적분 판정법을 통해 보일 수 있다. 급수의 발산은 연쇄 법칙을 반복 적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급수의 수렴은 거듭제곱 규칙, 연쇄 법칙 및 적분 판정법을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4. 역사

5. 한국의 관점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Calculus: Metric Version Cengage 2021
[2] 서적 An Introduction to Analysis Pearson Education 2004
[3] 서적 Thomas' Calculus: Early Transcendentals Pearson Education 2018
[4] 웹사이트 Why does it have to be positive and decreasing to apply the integral test? https://math.stackex[...] 2020-03-11
[5] 간행물 A Proof of the Lebesgue Condition for Riemann Integrability 1936-09
[6] 문서 "''k'' {{=}} 1 のときの結果は、素数の逆数和が発散することの証明とも関係がある。{{仮リンク|素数の逆数和の発散|en|Divergence of the sum of the reciprocals of the primes}}を参照。"
[7] 서적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http://www.mcgraw-hi[...] 2014-10-06
[8] 서적 Analysis I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